dnodal = dproc+ dqueue + trans + dprop
패킷 스위칭에서 한 패킷이 한 노드(호스트 혹은 라우터)에서 다른 노드까지 가는 경로 중 생기는 지연을 "노드 지연(nodal delay)"이라고 한다. 대표적인 delay는 4개가 있다.
1. 처리 지연(processing delay)
패킷의 헤더를 조사하고 그 패킷을 어디로 보낼 것인가 파악 하는데 걸리는 시간. 비트 수준에서의 오류 조사 시간도 포함한다.
2. 큐잉 지연(queuing delay)
링크로 전송되기 전에 큐에서 차례가 올 때 까지 기다리는 시간. queuing delay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트래픽 강도(traffic intensity) 가 중요하게 사용된다. 트래픽 강도를 계산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.
La/R
R = link bandwidth (bps)
L = packet length (bits)
a = average packet arrival rate
La/R 이 0에 가까우면 거의 큐에 오자 마자 나가게 되는 것이므로 딜레이가 거의 없다. 이 값이 커질 수록 딜레이가 커지는 것인데, 만약 이 값이 1을 넘어간 상태가 되면 큐에 들어갈 데이터는 무한대로 늘어나게 된다. 큐의 크기는 무한대가 아니므로 큐가 가득 차게 되면 그 이후로 전송 되어 오는 패킷은 손실된다.
3. 전송 지연(transmission delay or store-and-forward delay)
라우터에서 패킷의 모든 비트를 링크로 내보내는데 걸리는 시간. 패킷 길이와 링크 전송률이 영향을 미친다.
패킷의 길이 R, 링크 전송률 Rbps 일 경우 지연시간은 L/R
4. 전파 지연(propagation delay)
패킷이 한 링크의 시작에서(한 라우터에서) 목적 라우터 까지 가지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. 라우터 끼리의 거리가 영향을 미친다.
End-End Total Delay
위 내용들은 한 라우터에서의 지연에 관한 이야기이다. 소스 호스트와 목적 호스트 사이에 Q-1개의 라우터가 있다고 가정하면 dend-end = Q(dproc+ dqueue + trans + dprop)가 된다.
'IT 이론 > 네트워크&무선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istory of Cellular Systems (0) | 2013.10.17 |
---|---|
인터넷 통신 정리 (0) | 2013.06.15 |
소켓의 다양한 옵션 (0) | 2013.06.15 |
Internet transport protocols : TCP and UDP (0) | 2013.04.17 |
인터넷 계층 (0) | 2013.04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