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층화를 하는 이유
- 크고 복작한 시스템의 잘 정의된 특정 부분을 논의 할 수 있도록 해 준다.
(explicit structure allows identification, relationship of complex system’s pieces)
-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서비스 구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.
(change of implementation of layer’s service transparent to rest of system)
인터넷 프로토콜 스택
application - transport - network - link - physical
프로토콜 데이터 유닛
message - segment - datagram - frame
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을 하나씩 지나면서 데이터는 헤더를 하나씩 붙여간다. A application에서 하나의 message가 다른 호스트의 B application에 전달되고자 한다. application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tranport 계층으로 보내는데, tranport계층은 목적 호스트의 tranport 계층이 이를 받을 수 있도록 목적 tranport의 정보 및 기타 부가 정보를 적은 header를 붙인다. 데이터에 이런 헤더가 붙은걸 segment라고 한다. transport계층은 이 segment 를 또 네트워크 계층으로 내린다. network 계층도 마찬가지로 필요한 헤더를 붙이고, 각 층을 거칠 때 마다 필요한 header가 계속 붙게 된다.
스위치나 라우터를 지나면서 헤더가 추가로 더 붙거나 제거될 수 있다. 그리고 마침내 목적 호스트에 도착하면 목적 호스트에선 header를 검사해서 각 계층의 알맞은 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필요 없어진 header는 하나씩 제거된다. 그리고 B application에 전달되는건 처음 A application에서 나갔던 message이다.
'IT 이론 > 네트워크&무선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istory of Cellular Systems (0) | 2013.10.17 |
---|---|
인터넷 통신 정리 (0) | 2013.06.15 |
소켓의 다양한 옵션 (0) | 2013.06.15 |
Internet transport protocols : TCP and UDP (0) | 2013.04.17 |
Delay in packet-switched networks (0) | 2013.04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