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 이론/정보보호

접근통제모델

by 지식id 2016. 10. 14.
반응형
① 임의적 접근 통제(DAC, Descretionary Access Control)
 - 개인 기반 정책과 그룹기반 정책을 포함한다.
 - 객체에 접근하고자 하는 주체(또는 주체가 속한 그룹)의 접근 권한에 따라 접근 통제를 적용한다.
 - 특정 접근 허가를 가진 주체는 임의의 다른 주체에게 자신의 접근 권한을 넘겨줄 수 있다.
 - DAC의 대표적인 구현 예로 ACL(Access Control List)가 있다.
 - TCSEC에서는 신분-기반 접근 통제 정책으로 DAC를 분류한다. Orange Book C등급

② 강제적 접근 통제(MAC, Mandatory Access Control)
 - 보안 등급, 규칙 기반, 관리 기반의 접근 통제 방식이다.
 - 모든 주체 및 객체에 대화에 일정하며 어느 라나의 주체나 객체 단위로 접근 제한을 설정할 수 없다.
 - 주체의 레이블과 주체가 접근하고자 하는 객체의 보안 레이블을 비교하여 보안 정책에 합당한 접근 통제 규칙에 의한 통제 방법이다.
- TCSEC에서는 규칙-기반 접근 통제 정책으로 MAC를 분류한다. Orange Book B등급

③ 역할기반 접근 통제(RBAC, Role Based Access Control)
 - DAC와 MAC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이다.
 - 권한을 사용지가 아닌 그룹에 부여하고, 그룹이 수행하여야 할 역할을 정의한다.
 - 초기 관리의 오버헤드를 줄이고, 직무를 기반으로 하는 접근 통제 모델이다.
 - 각 주체에 허용된 접근 수준(Clearance)과 객체에 부여된 허용등급(Classification)에 근거 하여 접근 통제를 운영한다.
 - 접근 수준과 등급에 대한 정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.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