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명령어의 형식에는 네 가지가 있다.
- 3주소 명령어(3 Address Instruction)
- 2주소 명령어(2 Address Instruction)
- 1주소 명령어(1 Address Instruction)
- 0주소 명령어(0 Address Instruction)
모든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Op-code 1개를 가지며, 각 이름에 명시된 갯수만큼의 Operand를 갖는다. 예를 들어 3주소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.
Op-Code |
Operand1 |
Operand2 |
Operand3 |
Operand의 수에 따라 장단점이 있다. Operand의 수가 많을 수록 기능성이 증대되는 대신 속도가 느려진다.
1. 3주소 명령어
- 연산시 결과값이 파괴되지 않는다.
- 프로그램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.
- 주기억장치 접근이 줄어든다.
- 명령 수행의 시간이 길어진다. (기억장치에 접근이 많아진다.)
2. 2주소 명령어
- 가장 일반적이다.
- Operand1을 재활용하여 결과값을 기억한다.
- 계산 결과가 중앙처리장치, 기억장치에 모두 남아있게 되어 검산에 유리하다.
- 3주소 명령어에 비해 전체 프로그램의 길이가 길어진다.
3. 1주소 명령어
- 누산기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처리 해야한다.
4. 0주소 명령어
- 모든 연산은 스택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.
- 기존의 자료가 전혀 남아있지 않는다.
- 속도가 가장 빠르다. (Instruction Cycle Time이 가장 짧다.)
반응형
'IT 이론 > 컴퓨터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앙처리장치(CPU)의 구성과 레지스터 (0) | 2014.05.24 |
---|---|
[전자계산기구조] 다중처리기 (0) | 2014.05.24 |
[전자계산기구조] 메이저 스테이트(Major State) (0) | 2014.05.24 |
[전자계산기구조] 조합논리회로와 순서논리회로 (0) | 2014.05.24 |
플립플롭의 목적과 플립플롭의 종류 (0) | 2014.05.24 |
댓글